top of page

리비아;어둠에서 빛으로 사망에서 생명으로! 주님의 긍휼이 임하는 땅, 리비아


ree

종족 개관


ree

리비아는 기원전 64년 로마에 편입되어 초기 기독교가 꽃을 피웠던 지역이지만, AD 7세기부터 아랍제국의 침략으로 인해 이슬람화 되었습니다. 1969년 무아마르 카다피의 군사 쿠데타 이후 42년 동안 카다피 정권의 독재 가운데 있었습니다. 그러나 2011년 1월 튀니지에서 시작된 중동 민주화 시위가 이집트와 예멘, 아랍 전 지역으로 퍼지면서 리비아에서도 카다피의 독재 타도를 위한 시민혁명이 시작되었습니다. NATO군과 반정부군의 거센 공격 가운데 카다피가 내세운 방침은 젊은 청년들을 인간방패로 내세우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젊은 청년들이 무차별적인 죽임을 당하였고 2011년 10월 20일, 독재자 카다피가 사망함으로 사태는 종결되었지만 무려 5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알카에다 마그렙 지부와 안사르 알 샤리아 등 1700여 개 이슬람 무장세력들이 난립하여 리비아의 치안과 통제가 허술한 틈을 타서 훈련캠프를 세우고 청년들을 이슬람 전사로 길러내며 리비아 내 테러 사건과 내전 등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외국 공관과 근로자들, 리비아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지며 약 25만여 명의 피난민이 리비아 밖으로 탈출하였습니다. 이런 폭력 사태의 격화로 인해 리비아 내 외국 공관들이 폐쇄되고, 우리나라 정부는 지난여름 리비아를 여행금지국으로 지정하였습니다. 또한, 리비아 이슬람 무장단체 중 주요 단체인 안사르 알 샤리아를 비롯한 핵심 이슬람 무장단체들이 IS에 충성을 맹세하였고, IS가 인구 8만의 리비아 동북부 항구도시 다르나를 점령하였다고 공식 선포하였습니다. 이것은 시리아와 이라크 지역 외의 국가에서 최초로 IS의 영토로 편입된 것으로 정부의 통제력을 상실한 리비아로 IS의 영향력이 뻗치고 있습니다.


리비아에서는 2013년 12월 5일 33살의 미국인 청년 선교사가 리비아에서 순교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리비아 동부 도시 벵가지에서 영어교사로 섬기며 사역하시던 이 선교사님은 평상시 리비아의 가장 좋은 친구라고 자신을 소개하시던 분이셨는데, 지난 12월 5일 아침에 조깅을 하던 중 무장괴한의 총격을 받고 피살되셨습니다. 그리고 2014년 2월에는 리비아 동부 도시 벵가지에서 이집트 기독교인 7명이 살해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목격자에 따르면 총은 든 한 남자가 집집이 다니며 기독교도인지 무슬림인지 물은 뒤 기독교인들을 끌고 가서 머리에 총을 쏘아 살해하였습니다.


혼란과 영적 어둠 가운데 있는 리비아에 드려진 이 순교의 피를 통해 리비아 가운데 큰 부흥과 회복이 있을 것입니다. 리비아에 순교자들의 피를 받으셔서 이 땅에 어둠과 혼돈의 역사가 그치고, 생명의 빛이 비추이는 은혜의 해를 허락하여 주실 것입니다.

기도제목 일촉즉발 가자지구…이스라엘 “대규모 군사작전” 위협


ree

기도제목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거점을 잃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리비아에서 재기를 꾀하고 있다고 9월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주요 요새에서 패색이 짙어진 IS는 지난 1년 새 정치·경제적 격동을 겪고 있는 리비아에서 수많은 소집단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을 향한 테러의 발판인 셈이다.


IS에서 시리아 락까 작전에 가담했다가 지난 6월 탈출한 시리아인 아부 바라 알안사리는 메신저 텔레그램을 통한 WSJ와의 인터뷰에서 “IS는 리비아를 유럽을 향한 주된 입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IS는 또 미군 주도의 국제동맹군으로부터 사실상 패퇴한 시리아 락까에 있는 무장대원들에게 리비아로 가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와 유럽의 보안 당국 관계자들은 “수십명에 달하는 무장대원으로 구성된 소그룹들이 지난 수개월 간 리비아 외곽에 새로운 기지를 세웠다”며 “상업용 트럭을 강탈하고 리비아의 인신매매망을 약탈하면서 자금을 탈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럽의 보안 당국자는 WSJ에 “리비아에서의 IS 부활은 분명히 문제가 되고 있다”며 “그들은 정치적인 불안정을 겪고 있는 광대한 국가 리비아에서 수익을 거두고 비축된 무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몇년 간 프랑스 파리 테러, 벨기에 브뤼셀 테러, 영국 맨체스터 테러 등에 리비아 출신이 가담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유럽 보안당국 사이에서도 IS의 리비아 재정착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다. IS는 리비아에서 지중해를 건너 이탈리아로 향하는 난민 사이에 침투해 유럽을 향한 공격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2011년 리비아의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축출된 후의 혼란이 IS 재기의 토양이 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리비아 중부도시 미스라타시(市)에서 정부군과 협력하는 보안 관계자는 “다에시(Daesh/IS의 아랍식 명칭)가 리비아의 안보 문제를 악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군 아프리카 사령부에 따르면 현재 리비아에서 활동 중인 IS 대원의 수는 500여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 2016년 IS가 리비아 북부 항구도시 시르테를 장악하고 있었을 당시의 약 3000여명에 비하면 적은 수치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재 리비아에 얼마나 많은 IS 전투원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계속된다.


(후략)


출처: 뉴시스

여호와여 열납하시는 때에 나는 주께 기도하오니 하나님이여 많은 인자와 구원의 진리로 내게 응답하소서 나를 수렁에서 건지사 빠지지 말게 하시고 나를 미워하는 자에게서와 깊은 물에서 건지소서(시69:13~14)

내가 노래로 하나님의 이름을 찬송하며 감사함으로 하나님을 광대하시다 하리니(시69:30)

하나님, 열방 가운데 부르짖는 소리를 들으시고 연약한 자들을 기억하시는 주님을 바라봅니다. IS의 세력 확장으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일들이 일어날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모든 열방의 주권자이신 하나님! 모든 상황을 주관하시고, 전쟁과 아픔이 이제는 멈추게 하소서. 깊은 수렁과 어둠과 같은 아랍과 중동 정세 가운데, 수많은 자들이 인자와 구원의 진리로 응답하는 예수님을 만나게 하소서.


리비아와 모든 아랍의 국가들을 돌보아 주셔서, 그들의 고통과 불안한 마음을 만져주시고 이 땅에 주님의 영원한 생명의 구원이 선포되어 주의 은혜가 흘러넘치게 하소서. 그리하여 그들의 입술에 하나님을 찬송하며 하나님의 광대하심을 높이는 민족으로 새롭게 세워지게 하소서!

Comments


WEB

갭 무브먼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