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apmovement1

[오늘의 기도] 이란, 테러 배후로 美·이스라엘 겨냥…'강력 보복' 예고(종합2보)


이란 중부 케르만시에서 벌어진 대규모 폭발물 테러에 대해 이란이 '적들'에 대한 강력한 보복을 예고했다.


이란에서 언급하는 '적들'은 통상 미국과 이스라엘을 뜻한다.


가자지구 전쟁과 관련, 서방에 의해 하마스의 배후로 지목되면서 다소 수세적이었던 이란으로선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셈이다.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는 4일 낸 성명에서 "사악하고 범죄적인 이란의 적들이 또 재앙을 일으켰다"며 "이런 재앙은 반드시 강경한 대응을 마주하게 될 것이고 이는 신의 뜻"이라고 강조했다.


혁명수비대 정예 쿠드스군의 에스마일 가니 사령관도 "적들이 아무리 몸부림쳐도 이슬람 공화국(이란)과 저항 세력은 시온주의 정권 근절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도 4일 테헤란에서 열린 가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전 사령관의 4주기 추모식에서 테러의 주체와 배후 세력을 겨냥해 "큰 대가를 치를 것을 명심하라"며 보복을 다짐했다.


전날 오후 2시45분께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남동쪽으로 820㎞가량 떨어진 케르만 지역에서 열린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추모식에서 두차례 폭발이 일어났다.


이란 당국은 이 폭발로 최소 84명이 숨지고 211여명이 다친 것으로 파악했다. 당국은 애초 사망자 수를

103명으로 발표했다가 중복 집계를 제외해 84명으로 정정했다. 부상자는 284명이다.


라이시 대통령은 이번 사건의 배후를 직접 지목하진 않았지만 이스라엘을 향해 날 선 발언을 이어갔으며 추모식에 모인 군중은 "이스라엘에 죽음을"이라는 구호를 연호했다.


그는 "시온주의 정권(이스라엘)에 경고한다. 너희는 저지른 죄들로 몹시 후회스러운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마스가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을 기습한 이른바 '알아크사의 홍수' 작전을 거론하며 "알아크사 홍수는 아직 진행 중이며 그 끝은 시온주의 정권의 종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후략)


출처 : 연합뉴스


믿고 주께로 나오는 자가 더 많으니 남녀의 큰 무리더라 심지어 병든 사람을 메고 거리에 나가 침대와 요 위에 뉘이고 베드로가 지날 때에 혹 그 그림자라도 뉘게 덮일까 바라고 예루살렘 근읍 허다한 사람들도 모여 병든 사람과 더러운 귀신에게 괴로움 받는 사람을 데리고 와서 다 나음을 얻으니라(행5:14-16)

주님, 이란 케르만의 순교자 묘지에서 추모식이 열리는 가운데 폭탄 테러가 두 차례 일어나고 수십 명의 사람이 죽었고 수백 명의 사람이 다쳤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듣습니다.


이 가운데 이란 정부는 격노하며 미국과 이스라엘을 테러의 배후로 지목했고 수니파 이슬람인 IS는 본인의 소행이라 주장하는 등,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중동전으로 확장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는 마지막 시대, 세계 곳곳에 전쟁과 기근과 지진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 땅에 주님의 긍휼이 절실합니다.


이 땅에 갈급한 마음을 가진 자들이 모두 주님께 나아와 진정한 우리의 구원자 되시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나음을 얻게 하시고 이제는 이들이 이전의 분노와 율법과 죄악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영생의 기쁨을 누리는 주님의 자녀로 일어나게 하옵소서.


그리하여 엘람을 나의 보좌를 삼으시겠다고 하신 주님의 말씀이 이 마지막 시대 온전히 성취되며 이란이 페르시아와 중동의 축복의 통로가 되어 많은 자들을 옳은 데로 인도하는 담대한 그리스도의 증인 역할을 감당하게 하옵소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