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apmovement1

[선교지 소식] 中 닮아가는 라오스의 기독교 핍박… “선교도 中 지하교회처럼”


순교자의소리, 라오스 성도 2,100명에게 성경 ‘개별 전달’


한국순교자의소리(Voice of the Martyrs Korea, 한국 VOM) 현숙 폴리(Hyun Sook Foley) 대표는 "라오스 정부의 종교 정책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라오스 기독교인들에게 성경을 보급하는 방식이 대규모 배포에서 개별 전달로 대체됐다"고 전했다. 순교자의 소리는 최근 라오스 현지 사역자들과 동역하며 성경을 500명의 교회 지도자와 1,600명의 교인에게 개별적으로 은밀하게 전달했다. 그뿐 아니라 찬송가 660권도 전달했다.


현숙 폴리 대표는 "라오스는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을 뿐 아니라 공산주의 사상도 공유하고 있는데, 그 공산주의 사상에는 강력한 종교 규제가 포함돼 있다. 지난 7월 28일 미국으로 향하던 중국인 인권변호사 루시웨이(Lu Siwei)가 라오스에서 체포된 사건이, 라오스 정부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표시"라며 "라오스 정부가 급증하는 기독교 인구를 억제하기 위해 중국식 종교 규제 정책을 채택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했다.


현숙 폴리 대표는 "라오스의 기독교인 인구가 1994년에는 400명이었는데, 2020년에는 25만 명이 넘었고, 2023년 말까지 4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독교 인구 급증이 라오스 기독교 공동체의 시련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분석한다.


그녀는 "외부에서 오는 주된 시련은 핍박과 규제다. 라오스의 기독교 박해 대부분은 기독교 때문에 자신들이 믿는 정령들이 진노할까 봐 걱정하는 가족이나 마을 당국자들에 의해 이뤄진다. 마을 사람들이 심기를 건드리게 될까 봐 걱정하는 대상은 정령들만이 아니다. 라오스 정부 당국자들도 미등록 교회의 성장을 우려 섞인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중국과 마찬가지로, 라오스에서도 '모든 교회가 공식적으로 정부에 등록해야 하며, 모든 종교 규정을 철두철미하게 준수해야 한다'는 정부의 명확한 기대와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규정은 성경에 대한 접근도 통제한다. 성경을 라오스의 일반 서점에서는 판매하지 않고, 등록된 교회에서는 판매한다. 그리고 일부 외국 단체들이 대량 배포를 위한 성경 반입을 허용해 줄 것을 정부 당국에 신청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라오스의 기독교인이 1994년에는 400명이었는데, 2020년에는 25만 명이 되었고, 2023년 말에는 40만 명을 초과할 전망이다.

그녀는 그러나 "정부에 등록되지 않은 교회 성도들이 성경을 정부에 등록된 교회에서 구입하거나 정부의 허가를 받은 배포 행사에서 받으면, 소속된 교회의 지도자와 동료들이 노출돼 마을 주민이나 정부 당국자들에게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성경을 공개적으로 받는 것은 의심 많은 마을 주민이나 정부 당국자들이 정부에 등록되지 않은 목회자나 성도의 집 문 앞에 찾아오도록 자취를 남겨 주는 것과 같다"고 했다.


(중략)


현숙 폴리 대표는 라오스에서 기독교가 대규모로 성장했기 때문에, 대다수 교회에 제대로 훈련된 목회자가 없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목회자 대부분이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고, 성경이 없는 이들도 많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공동체에서 가장 연로하거나 부유한 사람이 교회 지도자가 되고,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교회 건물이 허용되지 않는다. 가정교회가 성장하는 것이 보이면 마을 지도자들은 어떻게든 막으려고 하고, 기독교인은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일자리도 대부분 정부에서 정해주기 때문에 기독교인은 일자리도 구하지 못할 수도 있다. 기독교인은 병원 치료나 교육 및 기타 복지 서비스를 거부당할 수 있다. 라오스에는 공식적인 신학교가 없다. 정부가 인정하는 유일한 교회는 '라오스복음주의교회'(Lao Evangelical Church)다"라고 설명했다.


현숙 폴리 대표는 성장하는 라오스 기독교 공동체가 직면한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 공식적인 교회 조직과의 중앙집권식 협력뿐 아니라, 정부의 허가도 필요한 대규모 사역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성도들에게 사적으로 은밀하게 성경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초창기 한국 기독교 역사는 개별적인 성경 배포의 힘을 보여 준다. 당시 조선 조정이 기독교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서양 선교사들이 조선에 도착하기 전에 벌써 존 로스 성경 15,000권이 비밀리에 직접 배포됐다. 라오스 정부가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을 따르는 것처럼, 라오스 교회도 중국 지하교회에서 배울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대형교회 건물을 몰수하고, 모든 성경 구매를 공식적인 채널로 단일화하고, 중국교회를 도우려는 미국과 한국 선교사들의 대규모 계획을 차단할 수 있었지만, 시골에서 기독교가 집집마다 전파되는 것은 막지 못했다. 우리가 지난 몇 년 중국에서 집중한 사역이 바로 그것이었다. 성경과 성경공부 자료를 요청하는 개별 성도에게 그것들을 개인적으로 공급하는 사역이었다. 지금도 중국 정부는 이러한 사역 방식을 저지하지 못한다. 라오스에서도 똑같은 접근 방식을 시도해야 할 때가 왔다"고 했다.


아울러 "현재 순교자의소리가 오디오 성경을 요청하는 라오스 성도들에게 그것을 은밀히 전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시골 지역에는 읽거나 쓰지 못하는 기독교인이 많다. 현지 사역자들이 지금 오디오 성경을 수령하기 희망하는 성도들 명단을 작성하고 있고, 그 명단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지만, 우리는 앞으로 몇 개월 내로 그 성도들이 요청한 바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출처 : 기독일보


주여 그들이 주의 선지자들을 죽였으며 주의 제단들을 헐어 버렸고 나만 남았는데 내 목숨도 찾나이다 하니
그에게 하신 대답이 무엇이냐 내가 나를 위하여 바알에게 무릎을 꿇지 아니한 사람 칠천 명을 남겨 두었다 하셨으니
그런즉 이와 같이 지금도 은혜로 택하심을 따라 남은 자가 있느니라 (로마서11:3~5)

하나님, 라오스의 기독교 핍박이 중국을 닮아가고 있습니다. 라오스에서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모든 교회가 공식적으로 정부에 등록해야 하며, 모든 종교 규정을 철두철미하게 준수해야 한다는 정부의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성경에 대한 접근도 통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교회가 그 지독한 핍박 속에서 오히려 더 강력하게 성장하여 이제는 100만 선교사 파송의 비전을 갖게 되었듯이 라오스에서도 모든 핍박을 뚫고 일어나는 주님의 교회를 통해 복음이 아세안을 넘어 예루살렘까지 전파될 것을 믿습니다.


라오스교회는 바알에게 무릎 꿇지 않은 남은 자들의 교회입니다. 은혜로 택하심을 따라 남은 자의 영성을 가진 라오스 교회가 핍박에 무릎 꿇지 않고 성령의 능력으로 담대하게 복음을 전하게 하옵소서.


복음 전파가 두려워 벌벌 떠는 라오스의 정사와 권세의 영이 진리 앞에 무릎 꿇게 하시고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복음 전파가 라오스 전역에 이루어지게 하여 주시옵소서!


Comments


bottom of page